백준
백준 4673 - 셀프 넘버(C++)
공대생의 잡다한 사전
2023. 1. 15. 19:49
문제 링크입니다.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4673
4673번: 셀프 넘버
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.R. Kaprekar가 이름 붙였다.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(n)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. 예를 들어, d(75) = 75+7+5 = 87이다.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,
www.acmicpc.net
셀프넘버를 구하는 방법만 알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.
51이라는 값을 생성자로 가정하면, 51 + 5 + 1인 57이라는 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.
1를 생성자라고 하면 1 + 1인 2라는 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.
이처럼, 생성자가 존재하는 수가 아닌, 만들 수 없는 수를 셀프 넘버라고 합니다.
셀프 넘버를 구하기 위해서는 1~10000까지 for문을 통해 X의 값을 생성자로 가정하고 값을 구하는 것입니다.
X를 통해 나오는 값은 셀프 넘버가 아님으로 이를 구할 수만 있으면 됩니다.
자세한 것은 코드를 참고해주세요
#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c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queue>
#include <cmath>
#include <cstdio>
#include <string>
#include <deque>
#include <stack>
#define P pair<int,int>
#define PP pair<P, int>
#define F first
#define S second
#define LL long long
using namespace std;
int check[10001];
int Sum(int x){
int sum = x;
while(1){
if(x == 0) break;
sum += x % 10;
x = x / 10;
}
return sum;
}
void solve(){
for(int i = 1; i <= 10000; i++){
int next = Sum(i);
if(next <= 10000) check[next] = 1;
}
for(int i = 1; i <= 10000; i++){
if(check[i] == 0) cout << i << "\n";
}
}
int main() {
cin.tie(0);
cout.tie(0);
solve();
return 0;
}
질문 및 조언은 댓글을 남겨주세요